국정자원 화재 시스템 복구율 15.6%…대체수단 확보 절반 수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지난달 26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총 647개 정보시스템 중 101개가 복구된 것으로 확인됐다. 복구율은 15.6%이며, 나머지 시스템 중 절반 가까이는 대체 수단이 확보된 상태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오후 2시 기준 1등급 핵심 업무 21개를 포함해 101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며 “복구되지 않은 546개 시스템 중 267개(49%)는 대체수단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그는 “대체수단이 없는 시스템은 신속히 보완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덧붙였다.
행안부는 이날부터 화재 현장에 현장상황실을 설치하고 김 차관이 상황실장을 맡아 복구 작업을 총괄하고 있다. 특히 전소된 7-1 전산실(5층)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이를 위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업체를 선정해 장비 입고가 시작됐다. 김 차관은 “민간 협력 클라우드 이전 세부 계획을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본격적인 이전 준비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현장에는 매일 576명의 전문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분진 제거 인력도 기존 20명에서 50명으로 늘려 복구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정부는 동시에 화재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 지원 대책도 마련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 쇼핑몰 입점 업체 물품 33억 원어치를 직접 구매하고, 정상화 이후 한 달간 판매 수수료를 면제한다. 중소벤처기업부도 2400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민간 온라인몰 입점을 지원하고 업체당 200만 원의 쿠폰을 지급한다.
조세심판원은 시스템 장애로 기한 내 심판 청구가 어려운 경우, 장애 해소 후 14일 이내 접수하면 적법한 청구로 인정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김 차관은 보안 공백 우려와 관련해 “국가정보통신망 보안 장비는 가동 중이었으며, 대전센터 통신망은 시스템 재가동 전 보안 장비부터 먼저 운영해 보안 공백은 없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