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세 확산…한강벨트 넘어 전역으로 꿈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3주 연속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가 전역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대출 규제 강화와 공급 대책을 내놨지만, 실질적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 속에 시장 불안감은 여전하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했다. 전주(0.12%)보다 오름폭이 0.07%포인트 커졌으며, 최근 3주 연속 상승폭 확대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성동구(0.59%)의 상승률이 가장 컸고, 마포구(0.43%), 광진·송파구(각 0.35%), 강동구(0.31%), 용산구(0.28%)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22개 구에서 오름폭이 전주보다 확대됐으며, 강동·용산·동작·은평·강북·금천구 등은 상승폭이 두 배 이상 커졌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단지와 대단지·역세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실제 거래가 상승세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한강벨트 주요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 전용 113㎡가 26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고,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전용 84㎡도 25억3000만원에 거래되며 손바뀜이 이뤄졌다. 매수심리 역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67로, 4주 연속 상승하며 관망세에서 벗어나는 흐름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공급 부족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권대중 한성대 경제·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은 주택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정부가 9·7 대책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 공급 계획을 내놨지만 대부분 외곽지역에 몰려 있고, 실제 공급까지 시간이 걸려 단기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