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 반등…9월 6000건 돌파 가능성에 규제 논의 부상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빠르게 늘어나며 올 하반기 상승장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9·7 주택공급 대책 이후에도 거래량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났고,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국지적 ‘패닉바잉’이 시장을 달구고 있다. 전문가들은 매물 부족, 풍부한 유동성, 추가 규제 전 매수 심리가 겹치면서 단기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127건으로 7월(3945건)을 넘어섰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했던 거래가 다시 4000건대를 회복한 것이다. 9월 들어서는 3124건이 집계됐는데, 남은 신고 기한을 고려하면 5000~6000건을 웃돌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갭투자 수요 유입으로 ‘상고하저’가 아닌 ‘상고하중’ 국면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9·7 대책이 오히려 단기 수요를 자극했다고 본다. LH 직접 시행 등을 포함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호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이 나왔지만 실제 입주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정비사업 규제 완화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성동·광진 등 한강벨트와 분당·과천 같은 핵심 지역에서는 ‘막차 수요’가 몰리며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9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0.19% 상승했고, 성동구(0.59%), 마포·광진구(각 0.43%) 등은 강남권을 웃도는 오름폭을 기록했다. 경기 분당(0.64%), 과천(0.23%) 등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여기에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은행도 완화 기조로 선회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전세 매물 부족과 맞물려 매수세를 더 자극하는 상황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가을 이사철 수요와 추가 규제 지정 전 매수 움직임이 겹치면서 거래량과 가격 모두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과열이 이어질 경우 정부가 규제 카드를 서두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현재 국회에서는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부여하는 법안이 논의 중이며, 과열 지역에 대해 조정대상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 지정이 먼저 추진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박원갑 위원은 “국회 입법 속도에 따라 11월 전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가능하다”며 “다만 한강벨트와 분당·과천의 과열 속도가 더 빠르다면 규제지역 지정을 앞당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