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호 재능대 교수, 새 인공지능(AI) 패러다임 ‘SCL’ 제안…"규모가 아닌 구조에서 찾아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재능대학교 AI마이크로디그리 책임교수이자 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최고기술 임원인 김명호 박사가 2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술 발표회에서 인공지능의 새 패러다임인 구조화된 인지 루프(SCL)를 제안했다.
김명호 박사는 인공지능이 지금까지 더 크고 복잡한 모델을 만드는데 집중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으며, 앞으로의 발전은 규모 확장이 아니라 구조적 설계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달려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SCL은 AI의 상태를 관리하고 투명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안전한 툴로, 일부 도구는 코드 생성을 통해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 모든 도구를 즉석에서 생성할 순 없고, 최적의 값이나 행동을 찾는 추론 능력이 제한적이라는 과제는 남아 있다.
그러면서 김 박사는 “인공지능이 지금까지 더 크고 복잡한 모델 등을 만드는데 집중했지만, 신뢰성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면서 “규모의 문제가 아닌 구조적 설계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게 앞으로의 발전 속도를 가늠케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박사는 대형언어모델(LLM)이 점차 정교한 추론 모델로 발전함에 따라 SCL 역시 풍부한 시뮬레이션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김 박사는 “AI의 미래는 규모가 아닌 구조에서 온다”며 “SCL은 신뢰성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 AI를 앞당겨 적용하는 핵심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CL 프레임워크를 실제로 적용한 AI시스템 ‘Chat Wonder’도 이날 설명회에서 공개됐다. ‘Chat Wonder’는 GPT 계열 LLM을 활용해 판단을 내리고, JSON 기반의 외부 기억 구조와 범용 챗봇 형태의 메타프롬프트를 통해 에이전트의 행동을 규정한다.
이를 통해 노코드·로우코드 방식으로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기업은 자체 지식과 데이터, 함수를 통합해 특화된 챗봇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대화만으로 완성된 챗봇 앱이나 API를 자동으로 생성해 빠른 제품화도 가능하다.
SCL은 AI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 금융, 교육, 공공서비스 등에서 안전하고 책임 있는 AI를 구축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AI 활용의 민주화를 촉진해 국가와 세계가 직면한 AI안전성과 책임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