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태국 CEPA 7차 공식협상 …7개 분야 사전 조율로 조속 타결 준비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한국과 태국이 경제동반자협정(CEPA, 이전 EPA) 체결을 위한 제7차 공식협상을 앞두고, 지난 7월 22일부터 25일까지 회기간(pre-session) 협상을 방콕에서 진행했다.

우리 정부측은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수석대표)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약 30여 명이 대표단으로 참여했으며, 태국 측 대표단은 초티마 이음사와스디쿨 상무부 무역협상국장이 이끌었다.

이번 회의는 지난 6차 공식협상 및 중간 논의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협상 속도를 높이고, 시장 개방의 범위와 수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논의된 협상 분야는 상품, 서비스, 투자, 디지털, 금융 등 7개 분야로, 특히 상품 및 서비스 부문에서 양국 간 개방 범위 및 수준 조정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예컨대 관세, 수입규제, 서비스업 분야 시장 진입 조건 등이 주요 토론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디지털 및 금융 분야에서도 데이터 이동, 금융서비스 접근성 확대 등의 내용이 거론됐다. 양국은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해 기술적 쟁점들은 세부 자료 교환 및 후속 실무회담을 통해 정밀하게 조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CEPA가 완성되면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태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 다변화, 공급망 연계 심화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 속에서 아세안권 국가와의 양자 협정을 확대하는 전략적 의미도 크다. 노건기 실장은 “태국 협정을 시작으로 방글라데시·파키스탄 등 성장 잠재력이 큰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과의 통상 협정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기간 협상을 통해 양측 간 쟁점이 명확해진 만큼, 7차 공식협상에서의 타결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다.

다만 상품 및 서비스 개방 수준에 대한 국내 업계의 우려, 농업·제조업 보호 필요성 등이 조율 과제로 남아 있어, 조속한 타결과 동시에 이해관계 조정의 균형이 중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