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美 금리 인하 예상된 수준…국내 금융시장 안정적 관리”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해 “정부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긴밀히 소통하며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합동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F4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번 인하를 시장이 예상한 수준으로 평가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서 불확실성 요인이 강조되며 혼조세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이어 “연준은 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하는 한편 성장과 고용 전망은 개선된 수치를 제시했으며, 경제와 금리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도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또 파월 의장이 “고용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으며 관세가 물가에 미칠 영향도 주시해야 한다”고 언급한 점을 전하며 “물가와 고용 모두 위험 요인이 공존하는 도전적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구 부총리는 “국내 금융시장은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코스피는 9월 들어 외국인 순매수세로 최고치 경신이 이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 투자 증가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회사채 발행 등 자금 조달 여건도 원활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미국 관세정책, 글로벌 경제지표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정부는 주요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F4회의는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열린 자리로, 구 부총리를 비롯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영상 참석),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0.25%p 인하하며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대미 관세협상, 가계부채와 부동산시장 동향,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대응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기관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이어가기로 했다.
앞서 연준은 이날 오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0.25%p 인하했다. 지난해 12월 인하 이후 9개월 만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정책금리 격차는 상단 기준 1.75%p로 좁혀졌다.
금리 인하 발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0.05%p, 10년물은 0.059%p 상승했고, 다우지수는 0.6% 올랐으나 S&P500 지수는 0.1% 하락했다. 달러 가치는 0.4%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