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발주 현장 4년간 근로자 92명 사망…LH 최다 발생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된 2021년 이후 최근 4년간 공공 발주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 92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발주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였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상위 10개 발주청에서 총 90건의 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92명이 숨졌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가 발생하면 각 발주처로부터 자료를 받아 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망(CSI)에 기록하고 있다.

기관별로 보면 △LH 18건 △한국도로공사 11건 △한국농어촌공사·국방시설본부·서울특별시청 9건 △국가철도공단 8건 △인천광역시청 6건 △한국수자원공사·경기도교육청·부산지방국토관리청·대전지방국토관리청 5건 등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21년 27건, 2022년 21건, 2023년 23건, 2024년 19건으로 매년 20건 안팎의 사망 사고가 이어졌다. 특히 LH는 2021년 9건, 2022년 2건, 2023년 4건, 2024년 3건으로 2022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최다 사망사고 건수를 기록했다. 한국도로공사 역시 2021년 4건, 2022년 3건, 2023년 3건, 2024년 1건 등 꾸준히 사고가 발생했다.

문 의원은 “발주자의 책임이 갈수록 강조되는 만큼 발주청 역시 공사 관리에 철저히 임해야 한다”며 “특히 LH와 한국도로공사 등은 반복적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공사 기간과 비용이 적정했는지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