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세종 이전 논의 본격화…“서울 메리트 사라질라” 내부 우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여성가족부의 세종 이전 논의가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원민경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이 “서울에 남아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며 세종행에 동의하면서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온 이전 주장이 힘을 얻는 모양새다.
현재 수도권에 남은 중앙부처는 외교부·통일부·국방부·법무부·여가부 등 5곳뿐인데, 여가부는 안보·외교 등 국가 기밀성과 직접 관련이 없는 만큼 예외적 사유가 없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여가부의 세종 이전 논의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5년 행복도시법 공포 이후 대통령실을 제외한 대부분 중앙부처가 세종으로 옮겨갔지만, 외교·안보 부처와 함께 여가부는 이전 대상에서 빠졌다. 이후 국회에서는 법무부·여가부 이전 법안이 여러 차례 발의됐으나 진전을 보지 못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여가부 폐지론이 불거지며 논의는 사실상 중단됐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이 추진되면서 세종 이전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여가부 세종 이전을 담은 행복도시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그는 외교·국방·통일 부처의 수도권 잔류는 설득력이 있으나, 성평등 정책의 범부처 협업 필요성을 고려하면 여가부는 세종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성평등가족부가 노동부 소관 여성고용정책을 맡게 된다고 명시돼 있으며, 노동부 역시 세종청사에 있다. 원민경 장관도 인사청문회에서 이에 동의하며 “세종행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가부 내부에서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서울에 근무하는 장점, 이른바 ‘서울 메리트’가 사라질 경우 인력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한 관계자는 “여가부 직원 상당수가 타 부처 출신인데 서울 근무를 보고 왔다”며 “세종으로 옮기면 많은 직원들이 떠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신입 공무원들의 지원 동기도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다만 세종행이 현실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서 개정안이 통과돼야 하고, 성평등가족부 개편 작업이 마무리된 이후에야 본격 이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여가부 산하기관 역시 지방 이전이 추진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원 장관은 서면 답변에서 “균형발전 차원에서 산하기관 이전은 필요하다”며 검토 의사를 밝혔다. 현재 여가부 산하기관 6곳 중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부산에, 나머지 5곳은 서울에 남아 있다.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지역균형발전 기조에 따라 산하기관 이전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