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규제 후 강남3구 거래 반토막…증여 통한 매입 급증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대출규제 시행 두 달 만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주택 거래 건수가 절반으로 줄고 평균 매매가격도 1억7000만원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증여·상속을 통한 부동산 매입 비율은 오히려 증가해 ‘현금부자’ 중심의 거래 편중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부터 8월 31일까지 강남3구의 주택 거래 건수는 1208건으로, 규제 전 두 달(4월 28일~6월 27일) 2138건 대비 56.5% 줄었다. 거래 규모는 5조3502억원에서 2조8147억원으로 47.4% 감소했다. 1건당 평균 매매가격은 25억244만원에서 23억3007만원으로 1억7237만원 하락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는 같은 기간 737건에서 413건으로 줄고 평균 매매가는 30억3923만원에서 28억157만원으로 2억3766만원 하락했다. 서초구는 435건에서 280건으로 감소하며 27억7253만원에서 26억5299만원으로 1억1954만원 내렸고, 송파구도 966건에서 515건으로 줄고 평균 매매가는 19억3313만원에서 17억7639만원으로 1억5674만원 하락했다.
이 같은 거래 축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1200건 이상의 고가주택 거래가 이뤄진 배경에는 ‘현금부자’의 매입과 증여·상속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금조달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서울 부동산 매입 과정에서 증여를 통한 비율은 규제 전 27.2%(1~6월)에서 규제 후 30.5%로 상승했다. 강남구는 같은 기간 32.1%에서 37.6%로 5%p 늘었고, 송파구 6.7%p, 마포구 4.9%p, 용산구 3.1%p가 각각 상승했다.
‘노도강’으로 불리는 노원·도봉·강북구 역시 증여 비율이 급등했다. 노원구는 19.9%에서 30.3%로, 도봉구는 17.7%에서 33.3%로, 강북구는 18.2%에서 33.3%로 증가했다. 성북구는 20.0%에서 40.3%로 두 배 이상 뛰며 서울 자치구 중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이외에도 관악·영등포·종로 등 7개 구에서는 증여를 통한 매입 비율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김 의원은 “6·27 규제가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막고 현금부자들에게만 기회를 열어주고 있음이 드러났다”며 “디딤돌·버팀목 대출 등 서민 대상 금융 지원을 보완하지 않은 규제 일변도 대책은 과거 정부의 부동산 실패를 답습할 수 있다. 민간과 시장에 활력을 주는 공급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