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시장 침체 지속…정부 지원책에 미분양 완화 기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지방 주택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인허가, 착공, 분양 실적이 모두 큰 폭으로 줄고 있다. 미분양 물량 역시 지방에 집중되며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건설경기 회복을 위한 지원책을 내놓으면서 미분양 해소 기대감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수도권 주택 인허가 실적은 8만383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지방은 7만733호로 30.8% 급감했다. 착공 실적 역시 수도권은 7만6339호로 3.8% 감소에 그쳤으나, 지방은 4만8208호로 24.6% 줄었다.

분양 실적의 격차는 더욱 뚜렷했다. 수도권은 5만2925호로 전년 대비 7.4% 감소에 그쳤지만, 지방은 3만7792호로 44.7% 급감했다. 이로 인해 지방에서는 경기 침체와 미분양 우려로 분양을 연기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실제로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의 78.7%가 지방에 몰려 있고, 준공 후 미분양 비중은 83.5%에 달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지방 건설경기 부진과 자금 조달 여건 악화가 맞물리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경기 위축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발표하고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구입 세 부담을 완화하고 임대주택 세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동시에 공사비 현실화, 자재 수급 안정, 숙련인력 확충, 스마트 건설 기술 지원 등을 통해 업계 부담 완화와 경쟁력 강화 대책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공급 축소와 정부 지원책으로 미분양 물량이 점차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조사한 9월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3.9로, 기준선(100.0)을 석 달 연속 밑돌며 감소세 전망을 이어갔다.

고 부연구위원은 “하반기 지방 중심의 보강 정책이 시행되면서 부동산 수요가 일부 보완될 것”이라며 “미분양 물량은 점진적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