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KAIST와 손잡고 ‘AI 전사’ 양성…정부 부처 첫 전문 교육 과정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기획재정부가 정부 부처 최초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손잡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AI) 전문 교육 과정을 개설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직원들을 ‘AI 전사’로 양성해 정책 효과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구 부총리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재부 AI 역량 강화 교육’ 출범식에서 "AI 대전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경쟁력과 미래 먹거리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며 "AI 활용 능력은 공무원이 갖춰야 할 기본 소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 전 분야를 아우르는 기재부 업무는 AI 기술과 접목될 때 막대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AI의 눈으로 데이터를 바라보고 방대한 정보 처리와 정교한 패턴 분석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정책의 깊이와 정확성을 높여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교육 과정은 기존 이론 중심 세미나와 달리 KAIST AI 대학원과 연계한 실습 중심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정부 부처가 국내 대학원과 협력해 전문 과정을 개설한 첫 사례다.

교육은 9월 9일부터 12월 16일까지 총 8회차로 진행되며, 장동인 KAIST AI 대학원 책임교수가 전담한다. 커리큘럼에는 △대형언어모델(LLM) 도입 및 활용 △AI 코딩 실습 및 애플리케이션 제작 △챗봇 구현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활용 △AI 에이전트 및 워크플로우 구현 △머신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이 포함된다.

출범식에 참석한 직원들은 "업무 효율화를 위해 AI 활용에 관심이 많았지만 시작점이 모호했는데, 체계적이고 실습 중심 교육이 마련돼 반갑다"며 "최신 동향과 실무 노하우를 전문가에게 배울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라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이미 지난 2월 부처 최초로 챗GPT, 퍼플렉시티(Perplexity) 등 AI 서비스를 업무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체 플랫폼 ‘AI 허브’를 구축했다. 오는 9월에는 AI 경험과 지식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MOEF AI 라운지’를 개설해 학습 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AI 대전환 시대에 맞는 조직 역량 강화를 이어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