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수도권 공공택지 직접 시행 확대…건설업계 “수익성 없어 참여 꺼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가 수도권 공공택지를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직접 시행하는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국토교통부는 2030년까지 LH가 직접 시행하는 방식으로 총 135만 가구를 착공해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H는 공공택지를 민간에 매각하지 않고 직접 시행하며, 민간 건설사는 설계와 시공만 맡는 구조로 전환된다.

국토부는 “LH는 민간 건설사보다 안정적인 자금 조달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시장 상황에 영향을 덜 받는다”며 “토지 조성이 끝나는 즉시 착공해 공급 일정을 앞당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에 공급하지 않던 전용 85㎡ 초과 대형 평형 아파트도 직접 공급해 수요자 선택권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LH가 추진하는 공사가 민간 정비사업보다 수익성이 떨어지고, ‘최저 입찰가’ 방식이 브랜드 가치 관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참여를 주저하는 분위기다.

중견 건설사들은 LH 공사를 통해 시세 및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할 수 있어 참여를 이어가고 있지만, ‘갑질 관행’이 개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들은 “민간 아파트보다 공사 단가가 턱없이 낮고, 자재 수급난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공기 연장을 인정받기 어렵다”며 구조적 문제를 토로했다.

LH의 직접 시행 확대는 정부의 주택 공급 속도 제고라는 목표와 건설업계의 수익성·관행 개선 요구가 맞물려 있다. 공급 물량 확대라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업계의 불만과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 한 참여 저조와 갈등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