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해상풍력 골든타임”…인허가 속도전 돌입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산업부는 10일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인허가 단축과 금융지원, 인프라 확보 등 현안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정부 정책의 일환이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국내 지형적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조선·철강 등 연관 산업에도 파급력이 큰 미래 핵심 산업으로 꼽힌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해상풍력은 0.35GW 수준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를 도입해 총 4.1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날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사업의 성공적 안착이 향후 시장 확대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정부와 업계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의 어려움 등 주요 애로를 해결해 해상풍력 보급을 가속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전문가들이 지금을 국내 해상풍력 활성화의 마지막 골든타임으로 지적한다”며 “낙찰된 4.1GW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정착해야 전체 보급 확대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관계 부처가 원팀으로 협력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TF를 통해 해상풍력이 단순한 에너지 전환 차원을 넘어, 산업 생태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