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 23.6%…3년 만에 최고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올해 7월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매매 가운데 신고가 거래 비중이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3946건 중 932건이 신고가 거래로 집계돼 전체의 23.6%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6월(22.9%)보다 높고, 2022년 7월(27.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6월 거래량이 1만935건에서 36% 수준으로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유지되면서 신고가 갱신이 이어졌다. 거래 금액대별로는 △12억 초과~20억 미만 아파트에서 신고가 비중이 31%(288건)로 가장 컸다.

이는 맞벌이 고소득층이나 갈아타기 수요가 여전히 활발하게 시장에 진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어 △20억 초과~30억 미만 19%(177건), △30억 초과 20%(189건) 순으로 고가 주택에서도 꾸준히 신고가 거래가 발생했다.

반면 △9억 이하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18%(169건)에 머물렀다. 대출 규제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가격대인 만큼 거래 위축과 매수·매도 간 가격 격차로 인해 신고가보다는 조정 거래가 주를 이룬 것으로 풀이된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 61.5%, △용산구 59.5%, △강남구 51.6%가 절반 이상을 신고가 거래로 기록했다. 서초구에서는 서초동 그랑자이 84㎡가 41억9000만원, 래미안리더스원 84㎡가 37억2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한 신반포2차 92㎡는 45억5000만원, 신반포4차 96㎡는 48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용산구에서는 이촌동 LG한강자이 134㎡와 한강맨숀 87㎡가 각각 42억원에 거래되며 고가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나왔다.

이외에도 △광진구 38.2%, △송파구 36.8%, △양천구 35.8%, △마포구 34.2%, △종로구 32.1%, △동작구 31.1% 등 강남권을 비롯한 도심 지역에서 높은 비중의 신고가 거래가 나타났다. 반면 △중랑구 4.3%, △구로구 3.6%, △성북구 3.6%, △노원구 3.2%, △도봉구 3.1%는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직방은 “6·27 대책 시행 두 달이 지난 현재,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고가 단지와 중저가 단지 간 양극화가 뚜렷하다”며 “강남·용산 등 고가 아파트는 여전히 수요가 이어지며 신고가를 경신하는 반면, 중저가 단지는 거래가 위축돼 시장의 온도차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