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조 추경에도 경기 부진 지속…올해 1%대 성장 ‘빨간불’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정부가 35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으로 내수 부양에 나섰지만, 건설업 부진과 수출 둔화로 인해 올해 0%대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2일 발표한 ‘경제전망 수정’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5월과 동일한 0.8%로 유지했다.
1차 추경(12조2000억원)과 2차 추경(22조6000억원)으로 소비 여건이 다소 개선돼 민간소비 증가율을 △1.1%에서 △1.3%로, 상품수출을 △-0.4%에서 △1.2%로, 설비투자를 △1.7%에서 △1.8%로 상향했지만, 건설투자는 △-4.2%에서 △-8.1%로 크게 낮췄다.
KDI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건설 현장 안전사고 여파 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상반기까지 호조를 보였던 수출도 하반기부터는 한미 상호관세 영향으로 위축될 전망이다.
상품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1.6%에서 하반기 △0.9%로 떨어지고, 내년에는 △0.2%로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성장률이 1.0%를 밑돌 경우, 이는 △1998년 IMF 외환위기(-4.9%) △1980년 오일쇼크(-1.5%)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0.7%)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0.8%) 이후 다섯 번째다.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며 세계 평균(3.0%)과 선진국 평균(1.5%)을 크게 밑돌 것으로 봤다. KDI는 재정·통화 부양책만으로는 저성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진단하며 구조적 잠재성장률 하락을 우려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장차 0%대 성장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AI 전환, 규제 완화, 경제 형벌 합리화 등을 담은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8월 중 새로운 성장전략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