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청문회…도덕성·전문성 모두 ‘도마’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됐지만, 도덕성과 전문성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자녀의 불법 유학 의혹, 논문 표절 문제는 물론, 교육정책 전반에 대한 낮은 이해도까지 드러나며 여당 내에서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자녀의 조기 유학 문제에 대해 “당시 불법인지 인지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지만, 규정상 불법이 명확한 상황이었고, 두 딸의 유학에 8년간 약 69만 달러를 송금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여론의 비판이 이어졌다. 환율 기준으로 최대 12억 원이 넘는 금액으로 추산되며, 국민의힘 의원조차 “상식 밖”이라는 지적을 내놨다.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서도 후보자는 학문적 양심을 내세우며 부인했지만, 표절률이 50%를 넘는다는 범학계 국민검증단의 주장과 대조되며 논란은 계속됐다. 이 후보자는 “카피킬러 같은 프로그램의 결과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고 반박했지만, 검증단은 수작업 검증 결과도 준비돼 있다며 공개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문성 부족도 도마 위에 올랐다. 초·중등교육 관련 주요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청문회 내내 이어졌고, AI 디지털 교과서의 정의조차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 자사고 존치 여부, 영어유치원 문제, 사교육 해소 방안 등에 대한 입장도 모호하거나 답변을 정정하는 모습이 반복됐다.
결국 여당 의원들조차 이 후보자의 답변 태도와 이해 수준에 실망감을 드러냈다. 특히 고민정 의원은 “질문 하나에 철학이 술술 나와야 할 자리에서 아무 말도 못 하는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직격했다.
이에 따라 전교조를 비롯한 진보교육계는 사퇴 요구를 거듭하고 있다. “전문성 부족은 흠집 수준이 아니라 자격 자체를 의심하게 한다”는 교육계 인사의 말처럼, 인사청문회를 통해 오히려 자질 논란이 더 깊어진 셈이다. 이 후보자는 “비판 받을 일을 하지 않았다”며 장관직 수행 의지를 밝혔지만, 여론의 반응은 싸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