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에 전세 수요↑…서울 전세난 현실화 우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의 대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전세시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조치로 매매 대신 전세를 택하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다 전세 매물 자체가 줄어드는 이중 압박으로 인해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하반기부터 전세 대란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27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통해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주택을 구입할 경우 6개월 내 실거주를 의무화하는 등 초강력 대출 억제 대책을 발표했다. 1주택자는 기존 주택을 처분해야 신규 주담대가 가능하며, 다주택자는 사실상 대출 자체가 차단돼 갭투자도 불가능한 구조가 됐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는 전세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전세 공급은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2주 연속 상승해 0.08%의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북권에서는 용산·성동·광진·노원·종로구 등에서, 강남권에서는 강동·송파·강서구 등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오르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5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4742건으로, 올해 초(3만1244건) 대비 약 20.8% 감소했다. 여기에 전세의 월세화 현상도 가속화되고 있어 전세 물량은 더욱 줄어들고 있다.

특히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입주 절벽’에 따른 전세 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6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만4400가구로, 올해의 4만6710가구보다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적 수급 불균형이 전세시장의 불안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 권대중 서강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 도심의 주택 공급 부족이 심화되는 가운데 전세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수급 불균형에 따른 전셋값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