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서울 아파트 매매 1만건 돌파…“패닉바잉 속 6·27대책 불가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1만 건을 넘어서며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재지정 직전의 거래 급증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는 가파른 집값 상승에 대한 불안 심리와 7월부터 시행된 스트레스DSR 3단계 규제 시행 전 막차 수요가 맞물리며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한 6·27대책 시행이 불가피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6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1만27건으로, 3월 기록한 1만323건에 육박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3구와 용산구의 거래량은 여전히 낮은 반면, 한강벨트와 외곽지역의 거래가 두드러졌다. 마포구(616건), 성동구(693건), 강동구(834건)는 모두 3월 거래량을 넘어섰고,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은 1193건,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도 837건으로 각각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같은 매수세는 ‘포모’(FOMO·기회 상실에 대한 공포) 심리와 대출규제 강화 전 마지막 기회로 여긴 실수요자들이 몰린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6월 서울의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 수는 7181명으로, 2021년 11월(7886명)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1월(2812명)과 비교하면 약 2.5배에 달하며, 특히 30대(3323명)와 40대(1899명) 매수자가 급증한 점이 눈에 띈다.
거래 급증에 따라 서울 외곽까지 집값 상승세가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도 있었지만, 6·27대책 시행 이후 시장은 빠르게 관망세로 돌아섰다. 이번 대책은 수도권 및 규제지역에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주담대 대출 후 6개월 내 전입신고 의무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29%로, 전주(0.40%) 대비 상승폭이 둔화됐다. 갭투자가 봉쇄되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던 마포구(0.85→0.60%), 성동구(0.89→0.70%), 강동구(0.62→0.29%) 등도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DSR 규제 전에 집을 사려는 수요가 몰리며 ‘패닉 바잉’이 나타난 것”이라며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대출 규제 효과가 작동하고 있는 지금, 확실한 공급 대책이 함께 나와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