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데이터센터 수요 폭발…“반도체법 시급”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산업연구원이 AI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한국이 이를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반도체특별법’ 제정과 인프라 지원이 시급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산업연구원은 9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향후 5년간 데이터센터 반도체 시장 규모가 700조원에서 3000조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의 수요 급증으로 TSMC 등 주요 파운드리의 공급이 빠듯한 상황이라는 점을 들어, 공급 부족이 곧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희권 연구위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례를 언급하며, “우리 반도체 산업도 구조적으로 불리한 상황을 버텨낸 만큼,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짧지만 강력한 기회의 창이 열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의 급속한 추격은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양쯔메모리(YMTC)의 낸드 시장 점유율이 2.7%에서 9%까지 급증한 사례를 제시하며, 이미 낸드 시장의 5강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준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의 시설 투자 속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며, SMIC의 매출 대비 시설 투자 비율이 98%에 달했던 반면, 삼성과 SK하이닉스는 20~40% 수준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과거처럼 대규모 시설 투자 이후 안정적으로 이익을 회수하는 모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불어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한 ‘감세법’ 통과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인텔과 마이크론 등 미국 기업들은 연구개발비 및 시설 투자비를 100% 즉시 비용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 구조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R&D 비용 소급 적용까지 포함되면서, 인텔은 최대 96조 원 규모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연구진은 한국도 반도체특별법을 서둘러 제정해 산업 전반에 대한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지, 전력, 용수 등의 인프라 지원은 물론, 전력망특별법과 AI 정책 자금을 활용한 맞춤형 조달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