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입주율 60%대 추락…대출 규제에 입주시장 흔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60% 초반대로 추락하면서 입주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대출 규제와 기존주택 매각 지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까지 겹치며 입주 여건은 한층 더 악화될 전망이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6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0.9%로, 전월 대비 6.3%포인트(p) 하락했다. 수도권은 81.7%에서 80.8%로 0.9%p 감소하며 비교적 선방했지만, 5대 광역시는 7.0%p(60.8%→53.8%), 기타 지방은 8.0%p(66.7%→58.7%) 떨어지며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다.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주택 매각 지연이 37.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잔금대출 미확보(27.1%), 세입자 미확보(18.8%), 분양권 매도 지연(6.3%) 순으로 조사됐다. 연구원은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미분양 누적과 거래심리 위축, 대출심사 강화 등 복합 요인으로 입주율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7월 입주전망지수는 95.8로, 전월 대비 7.9p 상승했다. 수도권은 23.0p 상승한 117.1로 큰 폭의 반등을 보였고, 도 지역도 10.3p 오른 91.5로 조사됐다. 다만 광역시는 2.6p 하락한 91.0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새 정부 출범 직후인 6월 19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됐으며, 당시에는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가 시장의 기대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같은 달 말 발표된 6·27 대책은 입주시장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대책에 따라 대출 한도가 6억원 이하로 제한되고, 전세대출을 잔금으로 활용하는 것도 불가능해져 향후 입주에 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