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트럼프발 리스크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한국은행이 4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 카드는 다음 기회를 노리기로 했다. 국내외 경기 둔화와 수출 부진 등으로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졌지만,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정책 불확실성과 환율 급등 등의 대외 변수에 따른 부담이 크게 작용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2.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금리 차는 1.75%포인트로 유지된다.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 올해 1월엔 동결, 2월에는 다시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경기 흐름만 보면 금리 인하가 시급해 보인다. 미·중 무역 갈등과 국내 정치 불안으로 인한 내수 위축, 글로벌 교역 둔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한국 경제는 성장 모멘텀을 상실하고 있으며, 일부에선 올해 0%대 성장률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은은 당장의 인하보다는 여지를 남겨두는 신중한 접근을 택했다.

가장 큰 변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으로 촉발된 미국발 정책 불확실성이다. 갑작스러운 고율 관세 조치에 이어 90일 유예 등의 변화가 이어지면서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이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급하게 움직이기보단 관망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언급했던 중립금리 수준(2.55%)에 기준금리가 가까워지면서, 통화정책 수단의 여유가 줄어들었다는 점도 동결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 총재는 연초에 “올해 1~2차례 정도 추가 인하 여지가 있다”고 밝혔는데, 이번 동결은 그 카드를 아껴두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외환시장의 불안정성도 금리 동결을 지지했다. 최근 환율은 트럼프의 발언 하나에 30원 이상 출렁이며 금융위기 당시 수준인 1487원대까지 급등했다가 다시 1420원대로 내려가는 등 변동성이 심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은의 금리 인하가 또 다른 환율 급등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정책 역시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한 가운데 경기 둔화 신호도 함께 나오면서,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와 보수적 스탠스가 혼재된 상황이다. 파월 의장은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내 상황만 보더라도 가계부채, 집값, 물가 등 복합적인 리스크 요인도 산재해 있다. 서울의 집값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여전히 2%대를 유지하며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선 한은이 다음 회의인 5월쯤 다시 인하 사이클에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대외 정책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환율이 안정세를 찾으면 인하 여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5월 회의는 대통령 선거 직전에 열릴 예정이어서 정치적 부담감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여부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침체 우려가 크지만, 환율이 불안한 지금은 섣불리 금리를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한은은 다음 달 경제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