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찰 한자리에…초국경범죄 막는 ‘글로벌 치안 연대’ 본격 가동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전 세계 30여 개국의 경찰 수뇌부가 서울에 모여 보이스피싱, 마약 등 초국경 범죄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경찰청은 21일 “20일부터 24일까지 서울에서 ‘초국경범죄 생태계 대응을 위한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제5회 국제경찰청장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중국, 일본, 캄보디아 등 주요국 경찰 수장과 인터폴, 유로폴, 아세아나폴 등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해 국제 공조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이번 회의가 초국경범죄 근절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이끌어내길 기대한다”며 “대한민국이 글로벌 치안 협력을 주도하는 중심 국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역시 각각의 축사를 통해 세계 경찰기관 간 연대의 중요성과 재외국민 보호 강화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번 회의는 △인공지능(AI) 혁명에 따른 기술적 변곡점 대응 △경찰역량의 국제 표준화로 법집행력 강화 △글로벌 치안 거버넌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경찰청은 이를 통해 ‘행동하는 치안 연대(Active Security Solidarity)’를 구체화하고, 초국경범죄에 대한 신속한 정보공유 및 공동대응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전 세계 치안총수들이 참석한 연석회의에서는 정보공유와 경찰역량 강화, 공동작전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경찰청은 각국 대표단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특히 찌어 뻐우 캄보디아 경찰청 차장과의 회담에서는 스캠 단지 범죄 예방과 우리 국민 보호를 위한 ‘코리안데스크’ 설치, 한-캄보디아 합동대응 TF 운영, 24시간 핫라인 구축 등 실질적 협력 체계 마련에 합의했다.
한편 오는 23일에는 인터폴과 아세아나폴, 그리고 캄보디아·태국 등 아시아·태평양 9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조협의체’가 새롭게 출범한다. 이번 협의체는 우리 경찰청 주도로 구성된 협력 플랫폼으로, 동남아 지역 스캠 범죄 대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캄보디아 경찰이 공식 참여를 결정하면서, 향후 정보공유·공동작전·피해자 구조를 통합하는 실질적 국제 공조체계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대한민국 경찰은 책임 있는 주권 행사를 바탕으로 세계 각국과 협력해 시민의 안전과 국제 평화를 지켜나가겠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치안 협력이 한층 더 공고해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