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실적 노린 ‘기차표 꼼수’…30명, 12만장 예매 후 취소에 60억 반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신용카드 실적을 올리기 위해 코레일 승차권을 대량으로 예매한 뒤 취소한 ‘꼼수 이용객’이 적발됐다. 상위 30명이 취소한 승차권만 12만 장, 반환 금액은 6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신용카드로 다량의 승차권을 구매했다가 반환한 상위 30명의 회원이 발급한 승차권은 총 12만2257장으로, 반환액은 59억8875만 원이었다.

이 가운데 상위 5명은 전체 반환 금액의 절반이 넘는 50.5%(30억2462만 원)를 차지했다. 코레일은 이들 5명을 지난 2월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특히 1위 이용객 A씨는 승차권 2만8465장을 구매해 2만8308장(99%)을 취소했으며, 반환액은 15억 원에 달했다. 그는 지난달 벌금 800만 원의 약식명령을 받았다. 2위 B씨는 7349장을 예매한 뒤 7347장을 취소(5억8557만 원 규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코레일은 신용카드 실적을 올리기 위한 악성 예매·취소 행위를 막기 위해 모니터링과 제재를 대폭 강화했다. 올해 3월부터 코레일톡뿐 아니라 홈페이지와 역 창구 등 모든 채널을 대상으로 매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 월 결제 금액 기준으로 △50만~150만 원은 취소율 95% 이상, △1000만 원 이상은 취소율 70% 이상일 경우 제재 대상으로 분류했다. 위반이 3회 이상이면 회원 탈퇴 조치를 내리는 등 관리 기준도 세분화했다.

이 같은 조치 이후 코레일의 단속 성과도 뚜렷해졌다. 지난해까지는 92명 적발에 그쳤지만, 올해 8월 기준으로 1518명을 적발했고 이 중 1426명의 결제를 차단했다. 제도 시행 초기인 3월 일평균 적발 인원은 75.5명이었으나, 8월에는 0.8명으로 급감했다. 1000만 원 이상 고액 구매·취소 사례도 5월 이후 발생하지 않았다.

이연희 의원은 “승차권을 대량 발권 후 취소하는 행위는 다른 국민의 정상적인 예매 기회를 가로막는 명백한 방해 행위”라며 “철도공사가 모니터링 강화로 불법 행위를 줄인 것은 긍정적이지만, 향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부정 구매 시도를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