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특검에 자진 출석…“평양 무인기 투입 외환 혐의 집중 조사”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외환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15일 내란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기 위해 자진 출석했다. 북한 평양에 무인기를 투입한 작전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는지가 핵심 조사 대상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30분께 서울구치소에서 출발해 서울고등검찰청 청사에 도착했다. 사복으로 갈아입은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의 소환조사에 응했다.

특검은 지난달 24일 윤 전 대통령에게 외환 혐의 관련 첫 출석을 요구한 뒤, 같은 달 30일 2차 출석을 요청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구치소 방문조사만 응하겠다”며 불출석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특검은 이달 1일 체포영장을 발부받았고, 이날 오전 8시 집행을 예고했다.

그러나 교도관이 오전 7시 30분경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사실을 통보하자 윤 전 대통령이 스스로 “임의 출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자진 출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체포영장의 유효 기간은 오는 17일까지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교도소의 집행 준비 상황과 재판 일정을 고려해 이날 집행하기로 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조사 중 귀환을 원할 경우, 교도관을 통해 언제든 영장을 재집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담당했으며, 윤 전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입회 의사를 밝혔다. 특검은 이번 조사에서 외환 혐의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며 “질의가 마무리되면 추가 조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해 10~11월 드론작전사령부가 평양 등 북한 지역에 무인기를 투입한 작전이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한 지시였는지를 집중 수사하고 있다. 아울러 윤 전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 이승오 전 합참 작전본부장 등과 공모했는지 여부도 핵심 쟁점으로 보고 있다.

한편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출석 배경과 관련해 “지난 김건희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 당시 구치소 직원들이 겪은 어려움을 윤 전 대통령이 잘 알고 있었다”며 “공무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결정으로 자진 출석을 선택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