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내 감염 막는다”…서울시, 75개 기관과 협의체 가동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는 병원이나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시·자치구·의료기관이 함께하는 대응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14일 밝혔다.
의료관련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할 수 있는 비상 연락망(핫라인)도 구축, 운영하기로 했다.
이번 협의체는 서울시와 자치구, 의료기관이 한 팀처럼 움직이는 새로운 방식으로 추진된다.
시는 병원 담당자와 보건소 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정례화해 ‘의료관련감염병’ 관리 수준을 꾸준히 높여갈 계획이다.
의료관련감염병은 입원 또는 외래진료 과정에서 전파될 수 있는 감염으로, 국내에서는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내성균 감염(예: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반코마이신내성균 등)을 중심으로 총 6종의 감염병을 관리하고 있다.
일부는 전국의 모든 병원에서 신고하는 ‘전수감시’, 일부는 주요 병원만 참여하는 ‘표본감시’ 방식으로 관리 중이다.
시는 지난달 29일 '의료관련감염병 표본감시 교육 및 협의체 회의'를 열고 표본감시 지정기관 52곳과 관할 보건소 23곳 등 총 75개 기관, 90여 명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교육과 협의체를 정례화해 우수사례를 표준화하고, 기관 간 협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질병관리청 지침 개편에 따라 표본감시기관이 독립적으로 감시활동을 수행하고, 시 차원의 정례 교육·협의체 운영이 연 1회 이상 의무화됐다.
이번 협의체에서는 △의료기관과 보건소 간 실시간 연락 체계 구축 △감염병 유행 시 합동 대응 절차 △현장 자문 및 교육 수요 등 실제 상황에서 필요한 방안들을 논의했다.
송은철 서울시 감염병관리과장은 “서울시는 병원, 보건소, 시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막는 대응체계를 강화하고자 한다”며 “이런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시민이 의료관련감염병으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진료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