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물가 다시 2%대…쌀·달걀·외식비 줄줄이 올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9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쌀과 달걀을 비롯한 먹거리 가격이 일제히 뛰고 외식 물가와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 체감 부담이 커지고 있다.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이는 8월 1.7%로 올해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던 물가가 한 달 만에 다시 2%대로 복귀한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2%대 흐름을 이어오다 5월 1.9%로 내려갔지만, 6월과 7월 다시 2%대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 대비 2.0% 올랐다. 채소류는 12.3% 내려갔으나 쌀값 급등과 달걀·축산물·수산물 가격 강세가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쌀은 15.9%, 찹쌀은 무려 46.1% 올랐고, 달걀은 9.2% 뛰며 2022년 1월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돼지고기(6.3%), 국산쇠고기(4.8%), 사과(5.5%), 고등어(10.7%)도 오름세를 보였다.

공업제품은 2.2%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과 환율 효과에 석유류가 2.3% 오름세로 전환했으며, 커피(15.6%), 빵(6.5%) 등 가공식품도 4.2%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는 0.3% 올랐고 상수도료 3.2%, 도시가스비 0.4%, 지역난방비 0.3%가 각각 인상됐다.

서비스 가격은 2.2% 상승했다. 이 중 개인서비스가 2.9% 올라 외식비가 3.4%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도 1.2% 올랐는데, 이는 SKT 휴대전화 요금 감면 종료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세(0.5%)와 월세(1.1%)도 소폭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라 서민 체감 부담을 키웠다. 식품은 3.2%, 식품 이외 품목은 2.1% 올랐다. 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0%, 국내 기준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2.4% 상승했다.

국가데이터처는 “휴대전화 요금 감면 종료와 원재료·배달비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지만 소비쿠폰 발행 등 정책적 요인으로 물가가 자극된 흔적은 크지 않았다”며 “국제 유가와 환율 흐름, 농축수산물 작황에 따라 연말 물가 향방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