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1% 방어 가능할까…내수 회복에 낙관론 확산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새 정부의 적극적 재정 지출 확대에 힘입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를 지키고, 내년에는 잠재성장률 수준에 근접한 2%대 회복이 가능하다는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여전히 큰 변수로 지목되면서 경기 회복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발표한 경제주평에서 올해 성장률을 1.0%로 전망했다. 지난 5월 전망치(0.7%)보다 0.3%포인트 올린 수치다. 내년 성장률은 1.9%로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정부(0.9%·1.6%), 한국은행(0.9%), 한국개발연구원(KDI·0.9%)보다 높은 수치다.
연구원은 추경 효과와 건설경기 반등으로 민간소비와 투자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지만, 수출은 미국 관세 영향으로 올해 -2.5%, 내년 -1.0%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 회복은 소비지표에서 확인되고 있다.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5% 증가해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소비자심리지수도 8월 111.4로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주요 해외 투자은행들도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JP모건은 0.5%에서 0.7%로, 골드만삭스는 1.1%에서 1.2%로 올렸다. 그러나 정부와 한은, KDI는 여전히 보수적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김화용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하반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0.7% 이상 나와야 연간 1% 달성이 가능하다”며 “아직은 이르다”고 말했다.
다만 11월 수정 전망에서 상향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수출과 설비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는 합의했지만, 향후 재인상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은 “올해 성장률은 1% 방어가 가능하겠지만 내년은 관세 리스크가 재부각될 경우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원은 재정·통화정책 조율, 건설경기 활성화, 통상정책 대비, 사회안전망 확충 등을 병행해 경제 심리 회복세를 이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