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열차 출발 후 좌석 변경 가능…"철도 서비스 혁신 나선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해 열차 출발 후에도 좌석을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고, DIY 환승 및 레일택배 서비스까지 선보인다.
코레일은 10일 국민 생활과 밀접한 철도 서비스 개선안을 발표하며 △출발 후 좌석변경 △DIY 환승 △레일택배 서비스를 올해 안에 순차적으로 도입한다고 밝혔다.
우선 올해 안에 시행되는 ‘출발 후 좌석변경’ 서비스는 고객이 열차 탑승 후 모바일 앱 ‘코레일톡’을 통해 직접 빈 좌석을 확인하고 원하는 자리로 옮길 수 있는 기능이다. 그동안 열차 출발 직전 예매로 좌석을 배정받지 못했거나 창가석, 동반석 등 원하는 좌석으로 변경하려면 승무원을 불러야 했지만, 앞으로는 고객이 스스로 즉시 좌석을 바꿀 수 있다.
또 오는 11월부터는 고객이 직접 환승역과 환승 열차를 선택할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환승 서비스’가 제공된다. 지금까지는 출발역과 도착역만 지정 가능하고 환승역과 열차는 자동 추천 방식이었으나, 앞으로는 예컨대 대전에서 광주송정으로 이동 시 오송역이나 천안아산역 등 환승역을 직접 고르고 환승 시간을 10~50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환승 편의가 크게 개선된다.
생활밀착형 물류 서비스인 ‘레일택배’도 10월 말부터 시작된다. 출퇴근길 지하철역이나 출장·여행지 기차역에서 간편하게 택배를 접수할 수 있으며, 요금은 일반 택배의 절반 수준인 2500원이다. 전국 도서·산간을 제외한 지역에서 하루 만에 배송이 가능하다. 레일택배는 용산, 청량리, 대전, 동대구, 부산, 전주, 여수엑스포, 강릉 등 KTX 주요 8개 역과 수도권 전철 신도림, 가산디지털, 노량진, 회기 등 4개 역에서 시작된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고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으로 철도 이용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수요에 맞는 새로운 서비스를 적극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