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부담 덜고, 마음은 보듬고’…서울시, 난임부부 맞춤지원 확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는 난임부부의 심리적 부담을 덜고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시는 2023년 7월 서울권역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를 시작으로 2024년 9월에는 서남권역 센터를 열어 강남세브란스병원, 송파구 가든파이브, 보라매병원, 금천구 금화빌딩 등 총 4개소의 상담 거점을 마련했다.
센터는 강남세브란스병원과 보라매병원이 위탁 운영 중이다. 시는 센터운영이 안정화된 만큼 대상과 프로그램을 다양화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센터는 초기 상담부터 고위험군 등록 상담(최대 10회), 사례관리, 내‧외부 의료기관 연계, 자조모임‧집단 프로그램까지 원스톱 심리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표준화 심리검사와 1대1 상담을 기본으로 필요시 부부 동반 상담과 가족 상담도 병행한다.
2024년 한 해 665명이 총 5944건의 상담을 받았다. 이 중 1717건은 고위험군 등록상담 사례였다.
만족도는 98%로 높게 나타났고, 올해도 7월 기준으로 이미 7714건의 상담이 진행돼 연간 목표의 76.5%를 달성했다
오는 13일부터는 신혼부부와 난임부부를 위한 8주 과정의 건강관리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기당 25쌍 총 2기를 선착순 모집하며, 참여 신청은 한국난임가족연합회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또한 신혼부부와 직장인을 대상으로 난임 인식개선과 예방을 위한 교육도 확대한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경제적 지원에 더해 △신체적 건강관리 △정서적 회복 지원 △사회적 인식개선을 포괄하는 종합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민간·전문단체와 협력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정책을 보완할 예정이다.
정소진 서울시 건강관리과장은 "난임은 더 이상 개인과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난임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는 든든한 동행자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