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AI 시티’ 추진 TF 출범…내년 예산 40억 편성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국토교통부가 인공지능(AI)을 도시 운영 전반에 적용하는 ‘AI 시티’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테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5일 오전 민간기업과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킥오프 회의를 열어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TF에는 국토부 도시·건축·공간정보·모빌리티 관련 부서를 비롯해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국토정보공사(LX) 등이 참여한다. 회의에서는 급변하는 AI 기술 환경을 반영해 교통·에너지·안전 등 도시 문제 해결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AI 시티’는 기존의 스마트시티 개념을 확장한 미래형 도시 모델이다. 스마트시티가 버스정보시스템, 도시통합센터(CCTV), 스마트 횡단보도 등 개별적 서비스 도입과 데이터 수집에 초점을 맞췄다면, AI 시티는 축적된 도시데이터를 활용해 문제를 사전에 예측·대응하고 국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정부는 AI 시티 조성을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고, AI 특화 시범도시 선정을 위한 사업계획 수립 및 연구 예산 40억 원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했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AI 시티는 도시 계획과 운영을 AI가 주도하며 국민 생활을 혁신하는 새로운 미래도시 모델”이라며 “한국형 AI 시티 비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TF 출범을 계기로 ‘AI 시티’는 정부의 AI 대전환 정책과 연계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