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장애인 10명 중 2명 ‘병원 못 가’…미충족 의료율 17% 넘어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장애인들이 병원에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 장애인은 10명 중 2명 이상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하며 의료 접근성의 심각한 격차가 확인됐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장애인 의료기관 이용편의 접근성 제고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22년 9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일반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등록장애인 8000명을 조사한 결과 미충족 의료율은 17.3%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 국민 평균 미충족 의료율 6.6%와 비교하면 2.5배 이상 높은 수치다.
성별로는 여성 장애인이 20.3%로 남성(15.2%)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비수도권이 18.7%, 수도권이 15.5%였다. 특히 부산 거주자의 미충족 의료율은 2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가 21%로 2인 이상 가구(16%)보다 두드러졌다.
학력과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컸다. 중졸 이하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율은 20.1%로 대졸 이상(12.7%)보다 높았고,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23.9%로 비수급자(15.6%)보다 더 많은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장애 유형별로는 뇌병변장애 25.2%, 심장장애·호흡기장애 각각 19.2%, 뇌전증 18.5%, 지체장애 18.1% 순이었다.
미충족 의료의 가장 큰 원인은 이동의 불편(36.5%)이었다. 현재 보행상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69만여 명에 달하지만,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은 86%에 그치고 있다. 바우처 택시, 시각장애인 생활이동 지원차량 등 대체 수단도 전국적으로 2만4000여 대에 불과하다. 이어 경제적 이유(27.8%), 시간 부족(13%), 동행할 사람 부재(7.1%)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확대 △장애물 없는 시설 구조 개선 △편의시설 확충 △동행 지원 제도 △실시간 대기 안내 시스템 △전담 코디네이터 배치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했다.
서미화 의원은 “의료기관 이용이 어렵다는 것은 곧 장애인이 기존 의료체계에서 배제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지역 병·의원과 공공의료기관이 최소한의 접근성과 이동 지원 체계를 갖추어야 장애인의 실질적 의료서비스 접근이 보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