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궐석재판 속 불리한 증언 속출…“尹, 계엄 다시 하면 된다고 말했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7차례 연속 불출석한 가운데, 궐석재판에서 계엄군에 투입됐던 주요 증인들이 잇따라 위헌·위법성을 입증하는 증언을 내놓으며 재판이 윤 전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흐르고 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재구속 이후 진행된 10차 공판(7월10일)부터 16차 공판(9월1일)까지 건강상의 이유 등을 들어 불출석했다. 이에 재판부는 약 두 달간 궐석재판으로 진행했으며, 이 기간 주요 증인들은 △선관위 서버 확보 △국회 봉쇄 및 주요 인사 체포 △언론사·방송국 점령 등 내란 특검팀이 입증하려는 불법 행위에 관한 구체적 증언을 쏟아냈다.

고동희 전 국군정보사령부 대령은 “비상계엄 당시 적법하지 않은 일에 연루됐다고 생각했다”고 증언했고, 정성우 전 방첩사 준장도 선관위 전산실 장악 지시가 내려왔다고 말했다.

구민회 전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은 당시 이재명·우원식·한동훈 등 주요 인사 체포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고, 김영권 전 특전사 대령은 윤 전 대통령과 통화 후 “전기라도 끊을 수 없냐”는 강경 발언이 오갔다고 진술했다. 또 이민수 중사는 계엄 당일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다시 하면 된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이처럼 특검 측 주장에 힘이 실리는 증언이 이어졌지만 윤 전 대통령은 불출석으로 직접 진술이나 반박 기회를 놓치고 있다.

지귀연 재판장은 “자발적 불출석으로 불이익을 감수하라”고 언급했으며, 법조계 역시 “정당한 사유 없는 불출석은 재판부에 부정적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 회복 후 출석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