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소비·투자' 7월, 트리플 상승…소비쿠폰 효과 소매판매 29개월來 최대폭↑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7월 산업 생산과 소비, 투자가 동시에 늘어나며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새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이 효과를 내면서 소매판매가 2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5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3% 늘며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제조업 생산은 전자부품(20.9%), 기계장비(6.5%) 등이 증가했지만 자동차(-7.3%), 반도체(-3.6%)는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0.2% 증가했고, 공공행정도 2.8% 오르며 생산 확대를 견인했다.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5% 늘어나며 2023년 2월(6.1%)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통신기기·가전 등 내구재(5.4%),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2.7%), 음식료품·서적 등 비내구재(1.1%) 소비가 모두 증가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추경에 포함된 소비쿠폰과 으뜸효율 환급사업 영향으로 내구재부터 비내구재까지 고르게 소비가 확대됐다”며 “쿠폰 지급 시점이 7월 말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 진작 효과는 서비스업에서도 확인됐다. 도·소매업은 전월보다 3.3% 늘었고, 스포츠센터·헬스장 등 여가 관련 업종도 7.5% 증가했다. 미용, 자동차 수리, 숙박업 등 생활 서비스업 역시 상승세를 나타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8.1%)와 기계류(3.7%) 투자가 확대되며 전월 대비 7.9% 증가했다. 이는 올해 2월 이후 5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다. 반면 건설기성은 전월 대비 1.0% 줄었다. 토목 부문은 10.1% 늘며 반등했으나, 건축 부문은 -4.8%로 돌아서며 전체 감소세를 이끌었다.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으나,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 상승해 경기 개선 기대를 높였다.

이번 7월 지표는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생산·소비·투자가 동시에 증가한 결과로,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