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었음 청년' 역대 최대 48만 명… 5년간 경제 손실 53조 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학업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이른바 ‘쉬었음’ 청년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최근 5년간 53조 원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청년 인구 자체는 감소했지만 ‘쉬었음’ 청년은 오히려 늘어나며 지난달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8일 이미숙 창원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용역 ‘쉬었음 청년 증가에 따른 경제적 비용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만 15~29세 청년 인구는 2019년 966만 명에서 2023년 879만 명으로 줄었지만, 같은 기간 ‘쉬었음’ 청년은 43만 명에서 48만 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대학교 이상 고학력 ‘쉬었음’ 청년은 2019년 15만9000명에서 2023년 18만4000명으로 늘었다. 이는 경기 상황과 시장 여건에 따라 고학력 청년들이 취업 시점을 늦추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023년 기준 ‘쉬었음’ 청년의 예상 월소득은 약 180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 취업 청년 소득 217만 원의 83% 수준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청년층이 경제활동에서 이탈할수록 사회적 손실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연도별 ‘쉬었음’ 청년 규모와 예상 소득, 고용주의 사회보장부담금을 합산한 결과, 최근 5년간 발생한 경제적 비용은 총 53조40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비용은 2019년 8조9000억 원에서 2023년 11조5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대책으로 △교육 수준별 맞춤형 정책지원 △조기발견 및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심리·회복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안했다. 청년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 회복형 근로장학제도, 청년 동행 매니저 제도 도입 필요성도 언급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 부진 장기화와 기업 신규 채용 축소로 청년 취업난이 심화하고 있다”며 “맞춤형 지원정책은 물론 내수진작과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활력 제고로 신규 고용 여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