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월세화 가속…전세↓·월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의 월세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신규 계약 기준으로 월세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며 과거 전세 중심이던 임대차 구조가 급격히 변하고 있는 모습이다.

1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을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전세 비중은 52%로 지난해 같은 기간(59%) 대비 7%포인트(p) 감소한 반면, 월세 비중은 41%에서 48%로 7%p 늘었다. 보증금 대비 월세 수준을 기준으로 한 확장 지표에서도 전세 유사 계약은 59%에서 53%로 줄고, 월세 유사 계약은 41%에서 47%로 증가했다.

이는 임대차 구조가 전세와 월세 간 균형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자치구별로는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지역이 다수 나타났다.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구(53%), 중구(53%) 등은 월세 계약이 절반을 넘어섰다.

직장이 밀집한 도심과 강남권에서는 직주근접 수요와 높은 임대료 부담, 유동성 선호가 맞물려 월세 선호가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동대문구와 중랑구의 경우 휘경자이디센시아, 리버센SK뷰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에서 초기 자금 부담이 크게 작용했다.

반면 도봉구(69%), 동작·양천구(61%), 성북구(60%), 노원구(59%) 등 외곽 지역에서는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번 흐름에는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도 크다. 해당 대책에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전세퇴거대출 1억 원 제한 △정책대출 보증한도 축소 등이 포함돼 전세금 마련이 까다로워졌다. 이에 따라 임차인들이 월세로 눈을 돌리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직방 관계자는 “고가 주거지에서는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월세 계약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자금 여력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월세 선호가 구조적으로 심화되는 흐름”이라며 “당분간 월세 중심의 시장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