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여파, 서울·경기 약세 뚜렷…지방은 변화 제한적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대책 시행 이후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등 규제가 전면 적용된 수도권에서 하락 전환 흐름이 두드러졌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6월(46.5%) 대비 2.1%포인트(p) 하락한 44.4%로 집계됐다. 하락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권역별로 수도권 상승거래 비중은 45.0%로 3.1%p 줄고, 하락거래 비중은 39.2%로 4.1%p 늘어났다. 같은 기간 지방의 상승거래 비중은 0.2%p 줄어든 44.0%, 하락거래 비중은 0.4%p 늘어난 43.5%로 수도권에 비해 변동 폭이 작았다.

세부적으로 서울의 상승거래는 2.1%p 감소한 51.1%, 하락거래는 3.6%p 증가한 34.0%를 기록했다. 경기는 상승거래가 43.2%로 2.8%p 줄고, 하락거래는 40.6%로 3.5%p 증가했다. 반면 인천은 상승거래가 유지됐고 하락거래도 1.6%p 증가한 42.2%로 소폭 변동에 그쳤다.

지방의 경우 대체로 변화가 제한적이었으나, 세종시는 상승거래 비중이 6월 48.9%에서 41.7%로 7.2%p 줄고, 하락거래 비중은 35.4%에서 45.2%로 9.9%p 증가해 뚜렷한 약세를 보였다.

이 같은 흐름은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6개월 내 전입 신고 등 6·27대책 규제가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집중 적용되면서 서울·경기 핵심 지역의 투자 수요와 실수요 모두 관망세로 돌아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심화될 수 있다”면서도 “공급 불안 심리가 여전히 존재해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실수요층이 원하는 입지나 주택 유형이 적기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시장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며 “정부도 공급 불안 해소를 위한 정책 보완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