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여파 속 서울 집값 다시 상승…재건축 신고가 속출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부동산 대책 시행 6주 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거래량은 대책 이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지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 주(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4% 상승해 5주 만에 오름폭을 확대했다. 전주 대비 상승폭은 0.2%포인트 커졌다.

자치구별로는 성동구가 0.33%로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광진구(0.24%) △용산구(0.22%) △강동구(0.14%) △마포구(0.14%) 등 한강벨트 지역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강남 3구 중에서는 강남구만 0.15% 오르며 상승세를 보였다.

부동산원은 “전반적인 매수세는 여전히 관망 중이지만,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나 역세권·학군지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상승 거래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거래량은 급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518건으로 6월(1만1985건) 대비 약 29.4%에 불과하며, 1월(3514건) 이후 최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6개월 내 전입 의무, 전세퇴거제출 제한 등 갭투자를 억제하는 규제 조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는 신고가 거래가 계속되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6차 전용 144㎡는 지난달 14일 81억원에 거래되며 직전보다 5억원 오른 가격으로 신고가를 경신했다. 성동구 성수동1가 쌍용아파트 전용 59㎡도 지난달 27일 8000만원 상승한 14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수도권 아파트 공급 전망도 불안을 키우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올해 14만5237가구에서 2026년 11만1470가구, 2027년에는 10만5100가구로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가을 이사철 전세 수요가 증가하기 전에 실질적인 도심 공급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3기 신도시 조기 공급, 유휴부지 개발, 정비사업 활성화 등이 주요 대책으로 거론된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급매물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일부 실수요자들이 시장에 유입되며 시세를 자극하고 있다”며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과 통화 완화 기대가 여전히 작용하는 만큼, 공급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