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생애 첫 주택 매수' 서울·경기 15%↓…대출규제 여파 '40·50대' 주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7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생애 첫 내 집 마련’ 수요가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정부의 6·27대책 시행 이후 주택담보대출 제한과 LTV 축소 등의 규제로 실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5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을 매수한 사람은 6112명으로, 전월(7192명) 대비 15.0%(1092명) 감소했다. 경기도는 같은 기간 1만183명으로, 1만1901명이던 6월에 비해 14.4%(1718명) 줄어들었다.
서울의 생애 최초 매수자는 3월 3552명에서 매달 증가세를 이어가며 6월에는 올해 최고치인 7192명을 기록했지만, 7월 들어 하락 반전했다. 경기도 역시 3월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6월 급등 이후 매수세가 꺾였다.
연령대별로는 서울에서 50대(-27.8%)와 40대(-20.6%)의 감소폭이 두드러졌고, 경기도에서는 30대(-15.2%)와 40대(-14.9%) 순으로 줄었다. 생애 최초 매수자의 구매 의욕 위축은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과 함께 △LTV 70% 축소 △6개월 내 전입 의무 △신혼부부 및 신생아 특례대출 축소 등 일련의 대출 규제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으로 대출 여력이 줄어들면서, 자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실수요자들이 주택 매수를 미루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매매 시장이 위축되면서 전세시장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5일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2만2865건으로 한 달 전보다 8.7% 줄었다. 여기에 하반기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도 상반기(14만537가구) 대비 29% 줄어든 10만323가구에 불과해, 전세 수급 불균형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16만3977가구)와 비교하면 무려 39% 감소한 수치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주거는 생존과 직결된 필수 공간이기 때문에 매매가 어려워지면 수요는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하게 된다”며 “특히 전세 DSR 규제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에서 전세 수요 초과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