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규제 여파…10억 초과 아파트 계약취소 급증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고강도 대출규제 발표 이후 수도권 고가 아파트 시장의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며, 매매 계약 취소가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10억 원을 초과한 고가 아파트에서 계약이 해제되는 비중이 이전보다 8%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 27일까지 수도권에서 계약이 해제된 아파트 중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비중은 26.9%였으나, 대출규제 발표 이후에는 35%로 급등했다. 반면, 5억 원 이하 아파트의 계약 해제 비중은 32.2%에서 25.1%로, 5억 초과 10억 원 이하 아파트는 40.9%에서 40%로 소폭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고가 아파트의 경우 매입금액이 큰 만큼 향후 시세 하락 시 손실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매수자들이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금을 포기하면서까지 거래를 철회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부동산 시장이 고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상투를 잡았다'는 불안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 지역별로는 서초구의 계약 해제 비중이 2.5%에서 5.7%로 3.2%p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강남구도 5.1%에서 6.5%로 올랐으며, 마포구(4.8%→6.1%), 서대문구(4.9%→6.1%), 동작구(4.4%→5.5%) 등도 모두 1%p 이상 증가했다. 특히 ‘영끌 매수’와 갭투자가 많았던 노원구는 5.3%에서 7.3%로 상승했고, 강북구 역시 동반 상승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정부의 대출규제는 사실상 ‘집값은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를 시장에 던진 셈”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들에게는 자산 방어 심리를, 무리한 대출로 매입한 실수요자들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해 계약 취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규제 이후 시장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며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