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소강 국면…환경부, 곤충 대발생 관리체계 재점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환경 당국이 기승을 부렸다 소강 상태로 접어든 붉은등우단털파리(일명 러브버그)에 대한 대응 체계를 다시 점검하고 나섰다. 환경부는 11일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자체와 국립생물자원관, 관련 연구기관,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곤충 대발생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계양산 일대를 중심으로 나타난 러브버그 대량 출현 사례를 계기로, 대발생 곤충에 대한 사전 대응 역량을 점검하고 유기적인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회의에서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곤충의 대발생에 대비해 △관리 제도 정비 △대발생 예측 및 기술 기반 연구개발(R&D) 확대 등 중점 과제를 논의했다.

특히 러브버그뿐 아니라 과거에도 대량 발생 사례가 있었던 깔따구, 동양하루살이 등에 대한 관리방안도 함께 검토됐다. 환경부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은 외래종 유입 현황과 대발생 가능성이 있는 곤충에 대한 감시체계, 현장 안전 관리 방안 등 다양한 대응책을 공유했다.

또한 기존에 서울시 및 국립생물자원관과 구축된 협업 체계에 경기·인천 등 수도권 전역이 추가되면서, 지자체 간 협력도 한층 강화된다. 각 지자체는 자치구별 대응 현황과 체계를 점검하고, 필요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 상태를 확인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계양산에서의 러브버그 사례와 같은 곤충 대발생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기관 간 긴밀한 준비를 이어가겠다”며 “현장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뿐 아니라 제도 개선도 빠르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4일부터 계양산 일대에 인력을 파견해 러브버그에 대한 물리적 방제와 사체 처리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향후에도 대발생 우려 지역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화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