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속 장관감염증 급증…살모넬라·캄필로박터 ‘주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고온다습한 여름철 날씨가 이어지면서 설사, 구토, 복통 등을 유발하는 세균성 장관감염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식재료 손질과 보관 등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200병상 이상 의료기관 210개소를 대상으로 표본감시한 결과, 최근 5년간 장관감염증 발생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관감염증은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원충 등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해 발생하며,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진다.
특히 최근 4주간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모넬라균 환자는 6월 1주 66명에서 6월 4주 127명으로 늘었고, 캄필로박터균 감염도 같은 기간 58명에서 128명으로 약 두 배 증가했다.
살모넬라균은 상온에 방치된 계란액이나 오염된 계란을 만진 손으로 식재료를 다룰 경우 교차오염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계란을 구입해 냉장보관하고, 계란은 껍질을 깬 후 빠른 시간 내에 가열 조리해야 하며, 계란을 만진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
캄필로박터균은 특히 덜 익힌 가금류 고기나 오염된 물, 유제품을 통해 전파된다. 생닭은 가장 마지막에 손질하며, 닭 세척 시 튀는 물이 다른 식재료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닭고기는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하단에 보관하는 것이 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환자 수가 30.4% 증가했으며, 비브리오패혈증도 5월 이후 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특히 간 질환자, 당뇨병 환자, 알코올 의존자 등 기저질환을 가진 이들은 감염 시 사망률이 높아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 먹는 것이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관감염증 예방을 위해 안전한 음식 섭취와 철저한 손 씻기 등의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달라”며 “같은 음식을 섭취한 사람들 사이에 설사나 구토 증상이 2명 이상 발생할 경우 즉시 보건소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