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일제 도입 실험…“일 줄이고 매출 늘었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주 4.5일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영국에서 진행된 ‘주 4일제’ 실험이 기업 매출 상승과 직원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는 결과가 나와 국내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CNN은 최근 영국 시민운동단체 ‘주4일제 재단’이 실시한 6개월간의 단축근무 실험 결과를 보도했다. 실험에 참여한 17개 기업 모두 실험 종료 이후에도 주 4일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으며, 일부 기업은 매출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이번 실험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진행됐으며, 약 1000명의 직원이 기존과 동일한 급여와 업무량을 유지한 채 주 4일제를 체험했다. 그 결과 런던 소재 소프트웨어 기업 ‘브랜드파이프’는 전년도 동기 대비 매출이 약 130% 증가했다고 밝혔고, 병가와 휴가 사용일도 감소했다.
수익 데이터를 제출한 4개 기업 중 3곳은 매출 증가를, 전부는 병가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이와 유사한 실험은 지난 2022년에도 영국 61개 기관이 참여해 이뤄졌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단축근무 도입 후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됐다.
다만 이런 실험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기업 위주라는 점에서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마이클 샌더스 영국 킹스칼리지 교수는 “동기부여가 강한 조직에서의 성과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주4일제 재단 측은 “각국 실험에 참여한 기업들의 업종과 동기는 다양했다”며 반박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주 4.5일제’는 국내에서도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경기도는 민간기업과 산하 공공기관 총 135개소를 대상으로 임금 삭감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시범 적용한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86.7%가 주 4일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 중 60.6%는 임금이 줄어도 제도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피엠아이(PMI)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소득 감소나 근무 시간 축소에 대한 부담’(29.4%), ‘생산성 저하’(25.4%), ‘직군 간 형평성 문제’(24.0%) 등이 주된 우려로 나타났다.
단축 근무제가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선 산업군 특성에 맞는 세심한 정책 설계와 현장 수용성 확보가 필수라는 점이 이번 실험 결과와 함께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