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공공입찰 담합 근절 위해 22개 기관과 협력 강화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공조달시장에서의 입찰담합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관계기관들과 머리를 맞댔다. 공정위는 2일 제23회 ‘공공입찰담합 감시체계 개선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회’를 개최하고 22개 발주기관과 입찰담합 예방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협의회는 공정위의 입찰담합징후분석시스템(BRIAS)에 입찰정보를 제공하는 공공부문 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입찰담합 감시 현황을 공유하고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자리다. 공정위는 2014년부터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협의회를 운영하며, 입찰담합 감시 사각지대 해소와 시스템 연계를 위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BRIAS 연계 확대와 더불어 발주기관의 입찰담합 근절 역할을 강조하는 설명이 이어졌다. 특히 담합 발생 시 예산 낭비와 국민 부담으로 직결되는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발주기관 차원에서의 능동적인 감시와 협조 체계를 주문했다.

문재호 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은 “공공조달시장에서의 입찰담합은 국가 재정에 손실을 주는 중대한 위법행위이자, 국민에게 직접 부담을 안기는 사안”이라며 “입찰담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발주기관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법 위반 감시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