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 2.2% 상승…먹거리·국제유가 영향에 다시 2%대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2%대로 반등했다. 수산물·축산물 등 먹거리 가격이 크게 올랐고,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석유류 가격도 오름세로 전환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이는 올해 1월(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5월에 1.9%로 주춤했던 물가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2%대를 회복한 것이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1.5%), 공업제품(1.8%), 전기·가스·수도(3.1%), 서비스(2.4%) 등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확인됐다. 특히 축산물은 4.3%, 수산물은 7.4%, 가공식품은 4.6% 올라 먹거리 물가가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다. 수산물 가격 상승폭은 2023년 11월 이후 가장 컸다.

세부 품목으로는 고등어가 16.1%, 마늘 24.9%, 달걀 6.0%, 빵 6.4%, 김치 14.2%, 라면 6.9% 상승하는 등 생활 밀착형 식품 가격이 크게 올랐다. 라면은 1년 9개월, 달걀은 3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농산물은 전월 -4.7%에서 -1.8%로 하락폭이 줄며 가격 부담이 지속되는 양상이다.

5월까지 하락세를 보이던 석유류 가격도 6월 들어 0.3% 상승으로 반전됐다. 특히 자동차용 LPG 가격은 10.6% 급등했다. 이는 중동 지역 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보험서비스료(16.3%), 가전제품 수리비(25.8%), 공동주택관리비(4.3%) 등 생활비 전반에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축산물은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농산물 하락폭 축소, 가공식품 가격 상승 확대로 물가 상승폭이 커졌다"며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전월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산물 가격 상승은 바다 수온 상승으로 인한 어획량 감소가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물가 변동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한국 기준(농산물·석유류 제외)으로 2.4%, OECD 기준(식료품·에너지 제외)은 2.0%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라 식품 가격 상승률(3.2%)이 높았으며, 식품 이외 품목도 2.1%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했다. 신선 어개(7.5%)와 신선채소(0.2%)는 상승했지만 신선과실은 7.6% 하락해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