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분양시장 충격…“잠실 신축, 현금 14억 필요” 대출 한도에 술렁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가 수도권 분양 아파트에 대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하면서 서울 분양시장이 긴장하고 있다. 특히 고가 단지 분양이 집중된 강남·잠실권을 중심으로 수분양자의 자금 조달 부담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건설사들은 분양 시기를 재조정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1일부터 수도권 신규 분양 아파트에 대해 중도금과 잔금 대출을 포함한 전체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분양가와 무관하게 적용되는 이 규제로 인해 수분양자는 나머지 금액을 모두 자력으로 마련해야 한다. 예컨대 분양가가 20억원에 달하는 단지에서는 수분양자가 14억원 이상을 현금으로 준비해야 하는 셈이다.

실제 서울 외곽지역에서도 분양가 10억원을 넘긴 단지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지난 5월 구로구에서 분양된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전용 59㎡ 최고가는 10억240만원에 달했고, 올해 1월 분양한 서초구 래미안원페를라 전용 84㎡는 최고 24억5000만원에 책정됐다. 이달 분양 예정인 송파구 재건축 단지 잠실르엘의 전용 84㎡ 역시 분양가가 20억원 안팎으로 예상되며, 인근 잠실래미안아이파크는 작년 전용 84㎡가 18~19억원에 분양됐다.

이 같은 대출 제한은 고가 아파트에 대한 진입 장벽을 높이고, 실질적으로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자만 청약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실수요자 중심으로 청약 시장이 재편되면서 경쟁률 하락과 분양시장 위축 우려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터 전문위원은 “대출 한도가 분양가와 무관하게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중·고가 신축 아파트에 대한 일반 수요자의 접근이 사실상 막혔다”며 “특히 건설사 입장에선 분양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분양 계획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지역별 여건을 반영한 차등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대출 규제는 공급 확대 흐름 속에 있었던 분양시장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건설사들의 분양 전략 변화와 함께 수요자의 청약 패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