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 규제 확산 후 부동산 ‘관망 모드’…매수·매도자 모두 “움직임 멈췄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관망 모드’로 전환됐다. 규제지역 전면 확대와 고가주택 대출 규제 강화로 매수·매도자 모두 발을 빼면서 일선 중개업소에는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업소는 평소와 달리 조용했다. 중개업소 대표는 “정부 대책 발표 직후엔 매도를 취소하거나 계약을 서두르는 문의가 이어졌는데, 오늘은 집주인들이 ‘시장 상황이 어떠냐’는 전화만 온다”며 “매수 문의는 사실상 끊긴 상태”라고 전했다. 그는 “급매로라도 팔겠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다들 집값이 여전히 오를 거라 믿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이번 10·15 대책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 초강력 부동산 안정화 정책으로, 서울 전역을 비롯해 과천·성남·광명·안양 등 경기 12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다. 기존 강남·서초·송파·용산 등 일부만 포함됐던 규제 범위가 서울 전체로 확대된 것이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지정 효력은 오는 20일부터 발효되며, 허가구역 내 아파트나 연립·다세대주택 거래 시 관할 관청의 사전 허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는 사실상 모든 아파트 거래가 행정 절차를 거쳐야 하는 셈이다.
금융 규제도 대폭 강화됐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시가 15억 원 이하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6억 원으로 유지되지만, △15억~25억 원 주택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제한된다. 또한 DSR 산정 시 전세대출 이자상환분을 포함시키고, 스트레스 금리를 기존 1.5%에서 3.0%로 상향해 사실상 대출 문턱을 높였다.
현장에서는 거래절벽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마포구의 한 중개인은 “호가를 낮춘 급매물 문의만 가끔 있을 뿐 실제 거래는 없다”며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용산구의 또 다른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수자들은 규제 이후 가격 하락을 예상하지만, 집주인들은 오히려 장기적으로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본다”며 “양측이 서로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 거래는 완전히 멈췄다”고 했다.
동작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도 “지난주까진 일부 급매가 거래됐지만, 오늘은 문의 자체가 없다”며 “이번 대책으로 갭투자 자체가 막혀 단기 거래는 거의 사라질 것 같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의 관망세가 이어지며 거래량이 급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부동산 시장 분석가는 “10·15 대책의 여파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할 가능성이 높다”며 “연말까지는 거래 감소와 심리 위축이 병행되는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