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취업자 31만2000명 증가…1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전년 같은 달보다 31만2000명 늘어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고용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복지·예술·교육 분야가 고용을 견인한 반면 제조·건설업 등 전통 산업은 부진이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91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9월 대비 31만2000명 늘어난 수치로, 2023년 2월(32만9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올해 들어 취업자 수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5만2000명을 기록하며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올해 1월(13만5000명)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어 2월(13만6000명), 3월(19만3000명), 4월(19만4000명), 5월(24만5000명)으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6~8월에는 10만명대 증가폭을 유지했다가 9월 들어 다시 30만명대로 확대됐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30만4000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만5000명), 교육서비스업(5만6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두드러지게 늘었다. 고령화와 문화 소비 확대가 복지·예술·교육 부문의 고용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농림어업(-14만6000명), 건설업(-8만4000명), 제조업(-6만1000명)에서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건설업은 17개월, 제조업은 15개월 연속 감소하며 경기 둔화와 부동산 침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률은 63.7%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상승, 1982년 월간 고용 통계 작성 이래 9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4%로 0.5%포인트 올랐다. 다만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0.7%포인트 하락해 청년층 일자리 부진이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한편, 9월 실업자는 63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2000명(2.0%) 증가했다. 실업률은 2.1%로 전년 동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보건·복지 등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회복세가 뚜렷하지만, 제조·건설업 부진이 이어지고 청년층 고용률이 하락한 점은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며 “산업별 고용 불균형 해소와 노동시장 전환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