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두 달 연속 ‘최대 실적’…9월 ICT 수출 254억 달러 돌파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과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난 9월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2개월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발표한 ‘9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254억 3천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137억 8천만 달러(10.4%↑)로, 무역수지는 116억 5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최대치를 나타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통신장비가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반도체 수출은 166억 2천만 달러로 21.9% 늘었으며, 이는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고정가격 상승과 AI 서버 투자에 따른 고성능 메모리(DDR5, HBM 등) 수요 확대로 인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9억 2천만 달러(1.3%↑)로 IT기기에 OLED 패널 적용이 확대되고, 휴대폰·TV·노트북 등 전방산업 수요 회복세에 힘입어 증가로 전환됐다.

통신장비 수출은 2억 2천만 달러(38.3%↑)로 미국의 차량 전장용 수요(22.5%↑), 인도의 5G 장비 수요(100.8%↑)가 견인했다.

반면 휴대폰 수출은 14억 9천만 달러(10.7%↓)로 부품 경쟁 심화로 인한 부분품 수출 감소(23.6%↓) 영향이 컸다. 다만 완제품 수출이 55.8% 증가해 감소폭을 줄였다. 컴퓨터·주변기기도 14억 7천만 달러(10.1%↓)로 소폭 줄었으나, 유럽 주요국(특히 네덜란드 69.2%↑)을 중심으로 수출이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1.1%↑), 대만(53.5%↑), 베트남(20.8%↑), 유럽연합(22.8%↑), 인도(34.8%↑), 일본(13%↑) 등 대부분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만 4% 감소했다.

수입 부문에서는 반도체(1.2%↓)를 제외한 디스플레이(1%↑), 휴대폰(22.8%↑), 컴퓨터·주변기기(31.9%↑), 통신장비(35.9%↑) 등이 모두 증가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AI·고성능 메모리 등 첨단 산업의 성장세가 ICT 수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 확대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