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율 14%…정부 "1등급 서비스 절반 정상화"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 시스템 복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30일 오후 2시 기준 전체 647개 시스템 중 91개(14.1%)가 정상화됐다. 이 가운데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1등급 주요 서비스는 절반 이상이 복구됐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관계 기관이 밤낮없이 대응 중이지만, 아직 부족하다”며 “장애 시스템 전체 목록과 대체 수단을 함께 공개해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등급별 복구 현황을 보면 1등급 38개 중 20개(52.6%)가 가동되고 있다.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인터넷 우체국, 나라장터 등이 포함됐다. 다만 국민신문고, 모바일 공무원증, 통합보훈정보시스템 등은 여전히 중단 상태다. 2등급 시스템은 86개 중 14개(16.2%), 3등급은 294개 중 42개(14.2%), 4등급은 229개 중 11개(4.8%)가 복구됐다.
정부는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민원 발급은 무인민원 발급기 정상화로 큰 혼란은 없다고 설명했으나, 일부 부동산 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온라인 처리 지연으로 국민들이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는 불편이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화재 원인과 복구 작업에 대한 의혹도 해명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전원 차단 없이 배터리 교체 작업을 했다’는 주장에 대해 김 차관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배터리 교체를 위한 전원 차단은 소방이 말하는 서버·전등 전원 차단과 개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소방청 역시 “소방이 요구한 전원 차단은 화재 진압 시 감전을 막기 위한 별도 조치였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화재 피해가 집중된 5층 7-1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이전 등 별도 방안을 검토 중이며, 나머지 층에 위치한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