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시장 ‘공급 절벽’…전세수급지수 4년 만에 최고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이 가을 이사철을 맞아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전세수급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세가격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154.2로 전월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1년 10월(16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150을 넘어서면 심각한 매물 부족 상황으로 해석된다.
실제 전세 매물 감소세는 두드러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전날 기준 2만3832건으로, 6월 27일 대출 규제 시행 직후와 비교해 4% 줄었다. 특히 성북구의 전세 매물은 40.4% 급감했고, 관악구(35.5%), 중랑구(34.7%), 강북구(29.0%) 등 중저가 밀집 지역의 감소세가 가팔랐다.
전세 매물 부족은 정부의 대출 규제와 입주 물량 감소가 맞물린 결과라는 해석이다. 정부는 6·27 대책으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하고 전세퇴거자금 대출 한도를 1억원으로 제한했다. 이로 인해 갭투자 수요가 차단되면서 전세 매물 자체가 줄어든 것이다. 또한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분기 3만4175가구에서 3분기 2만4302가구로 감소했고, 10월에는 1128가구로 ‘1000가구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이는 2015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매매시장으로 이동하지 못한 수요가 전세·월세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가격 불안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전세가격 전망지수 역시 9월 서울 기준 118.2로,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올해 들어 줄곧 기준선(100)을 웃돌며 전세가격 상승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